Russ Hanson famously said, / “All seeing is seeing as.”
Russ Hanson은 유명한 말을 했다 / “모든 보는 행위는 무언가라고 보는 것이다”
While Hanson’s focus was upon the interaction / between scientific theories and their corresponding observations, / his dictum clearly applies / in everyday contexts as well.
Hanson의 초점은 상호작용에 있었지만 / 과학적 이론과 그에 상응하는 관찰 사이의, / 그의 의견은 명확하게 적용된다 / 모든 일상적인 맥락에서도
- interaction 상호작용
- corresponding 상응하는
- observation 관찰
- dictum 의견
- apply 적용하다
As he noted, /“seeing a bird in the sky / involves / seeing [that it will not suddenly do vertical snap rolls.]”
그가 지적했듯이, / “하늘에 있는 새를 보는 것은 / 포함한다 / 갑자기 수직 급회전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보는 것을”
[that ~] 동명사 seeing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명사절 접속사 that
- vertical 수직의
- snap roll 급회전
To see an object in the sky as a bird / is to see the object knowingly, / to see it as potentially flapping its wings, / but not as potentially maneuvering like a fighter plane.
하늘에 있는 물체를 새로 본다는 것은 / 그 물체를 알고서 보는 것, / 즉 그 새가 잠재적으로 날개를 퍼덕일지도 모른다고 보는 것이다, / 잠재적으로 전투기처럼 움직일지도 모른다고 보는 것이 아니라
[To see ~ is to see ~, to see ~]to 부정사의 명사적 용법. ‘~하는 것’으로 해석되며 이 문장에서 주어와 보어로 사용됨.
- knowingly 알면서, 알고서
- potentially 잠재적으로, ~할지도 모르게, 가능성 있게
- maneuver 움직이다, 기동하다
His point is completely general: / we do not see patches of color, vague figures, outlines, surfaces, and edges.
그의 요점은 완전히 보편적이다: / 우리는 색깔 조각, 모호한 형태, 윤곽, 표면, 그리고 가장자리를 보지 않는다.
- patch 조각
- vague 모호한
- outline 윤곽
[What we do see] / is a world of definite objects.
우리가 보는 것은 / 확정된 사물의 세계이다.
[What ~] What은 선행사를 포함한 관계대명사 = [the thing which~ ]
명사 상당어구로 이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함.
- definite 확정된, 분명한
Presumably / visual sensation / consists of the aforementioned patches of color, vague figures, and so on, / but seeing — the visual experience — does not.
아마도 / 시각적 감각은 앞에서 언급한 색깔 조각, 모호한 형상 등으로 구성될 지도 모르지만, / 보는 것, 즉 시각적 경험은 그렇지 않다.
does not 뒤에 consists of the aforementioned patches of ~ and so on이 생략됨.
- presumably 아마도
- sensation 감각
- aforementioned 앞서 말한
Seeing consists of observing the world / [as peopled by objects].
보는 것은 세상을 관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/ 사물로 채워진
[as ~] as (it is) peopled by objects (주어+be동사)가 생략된 부사절
- people 채우다
Objects, in this case, / are interpretations of our sensory experience.
이 경우에 사물은 / 우리의 감각 경험에 대한 해석이다.
- interpretation 해석
- sensory 감각의
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& 응원의 댓글 주세요!!
#2022EBS수능완성 #2022수능 #2022EBS수능완성영어 #수능완성영어 #수능완성영어실전편 #수능완성영어실전모의고사 #실전모의고사2회21번 #수능완성지문분석 #수능완성직독직해 #수능완성단어정리 #지문분석 #직독직해 #단어정리 #밑줄
'매일습관기르기 > 2022 EBS수능완성 영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022 EBS수능완성 영어] 실전모의고사 2회 26번 지문분석 (0) | 2021.09.12 |
---|---|
[2022 EBS수능완성 영어] 실전모의고사 2회 22번 지문분석 (0) | 2021.09.10 |
[2022 EBS수능완성 영어영역] 실전모의고사 2회 20번 지문분석 (0) | 2021.09.10 |
2022 EBS 수능완성 영어 1강 2번 직독직해 & 지문분석 (0) | 2021.07.09 |
2022 수능완성 영어 1강 1번 지문분석/직독직해 (0) | 2021.07.08 |
댓글